파이썬의 자료형(4) - 집합, 불, 변수
집합먼저 집합 자료형은 set 키워드로 만들 수 있다.>>> s1 = set([1, 2, 3])>>> s1{1, 2, 3}set 안에 리스트를 넣을 수도 있고>>> s2 = set("Hello")>>> s2{'e', 'H', 'l', 'o'}문자열을 넣을 수 있다. 빈 집합은 s = set() 로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이상한 점은 s2 안에 있는 Hello 라는 문자열이 저장된 모습이다. l이 하나만 저장되었고 순서가 바뀌었다.이는 집합 자료형의 특징 때문이다.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순서가 없다(unordered).set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기에 데이터의 중복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로 사용된다. 리스트나 튜플은 순서가 있는 자료형이라 인덱싱으로 요솟값을 얻을 수 있지만, set 자료형은 순서가 없..
2024. 8. 21.
파이썬의 자료형(3) -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리스트먼저 리스트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여러 값이 모인 큰 자료형이다. 리스트의 들어있는 것을 요소라고 하고 리스트의 생김새는 대괄호([ ])로 감싸고 요솟값은 콤마(,)로 구분다.여러 리스트의 생김새는 다음과 같다.>>> a = []>>> b = [1, 2, 3]>>> c = ['Life', 'is', 'too', 'short']>>> d = [1, 2, 'Life', 'is']>>> e = [1, 2, ['Life', 'is']]비어있는 리스트는 a = list() 로 생성할 수 있다. 리스트는 어떤 자료형도 포함할 수 있다. 인덱싱과 슬라이싱리스트도 문자열처럼 인덱싱, 슬라이싱이 가능하다.>>> a = [1, 2, 3, ['a', 'b', 'c']]위와 같은 형태의 리스트는 a[3]을 하게되면 ..
2024. 8.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