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15

파이썬의 제어문(2) - while while은 영어로 "~하는 동안"이라는 뜻이다. 프로그래밍에서도 이는 비슷하게 연결되는데 "~하는 동안"이라는 뜻은 조건에 부합하는 동안이라는 뜻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다음은 while 문의 기본 구조다.while 조건문: 수행할_문장1 수행할_문장2 수행할_문장3 ... 조건문을 보고 조건이 참이면 아래 문장을 반복한다. 때로는 조건문을 이용해 무한히 반복하는 while문을 작성할 수도 있다. 아래와 같이 여러 줄짜리 문자열을 만들어보자.>>> prompt = """... 1. Add... 2. Del... 3. List... 4. Quit...... Enter number: """>>>  이어서 변수에 0을 대입하여 while 문의 조건문이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num.. 2024. 8. 23.
파이썬의 제어문(1) - if 일상생활 속에서 이런 상상을 해볼 수 있다.집에 비빔면 있으면 비빔면 먹고, 아니면 신라면 먹자 우리에게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다. 프로그래밍도 사람이 하기 때문에 위 문장처럼 주어진 조건을 판단한 후 상황에 맞게 처리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렇게 조건을 판단하여 상황에 맞게 처리할 때 사용하는 것이 if문이다. 파이썬은 위와 같은 상황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BibimMyeon = True>>> if BibimMyeon:... print("비빔면 먹자")... else:... print("신라면 먹자")...비빔면 먹자비빔면(BibimMyeon)이라는 변수에 True를 대입했으니 참이다. 따라서 비빔면을 먹자는 문장이 출력이 된다. 혹시나 파이썬 3.10 버전 이상이라면 idle에 실.. 2024. 8. 22.
파이썬의 자료형(4) - 집합, 불, 변수 집합먼저 집합 자료형은 set 키워드로 만들 수 있다.>>> s1 = set([1, 2, 3])>>> s1{1, 2, 3}set 안에 리스트를 넣을 수도 있고>>> s2 = set("Hello")>>> s2{'e', 'H', 'l', 'o'}문자열을 넣을 수 있다. 빈 집합은 s = set() 로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이상한 점은 s2 안에 있는 Hello 라는 문자열이 저장된 모습이다. l이 하나만 저장되었고 순서가 바뀌었다.이는 집합 자료형의 특징 때문이다.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순서가 없다(unordered).set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기에 데이터의 중복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로 사용된다. 리스트나 튜플은 순서가 있는 자료형이라 인덱싱으로 요솟값을 얻을 수 있지만, set 자료형은 순서가 없.. 2024. 8. 21.
파이썬의 자료형(3) -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리스트먼저 리스트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여러 값이 모인 큰 자료형이다. 리스트의 들어있는 것을 요소라고 하고 리스트의 생김새는 대괄호([ ])로 감싸고 요솟값은 콤마(,)로 구분다.여러 리스트의 생김새는 다음과 같다.>>> a = []>>> b = [1, 2, 3]>>> c = ['Life', 'is', 'too', 'short']>>> d = [1, 2, 'Life', 'is']>>> e = [1, 2, ['Life', 'is']]비어있는 리스트는 a = list() 로 생성할 수 있다. 리스트는 어떤 자료형도 포함할 수 있다. 인덱싱과 슬라이싱리스트도 문자열처럼 인덱싱, 슬라이싱이 가능하다.>>> a = [1, 2, 3, ['a', 'b', 'c']]위와 같은 형태의  리스트는 a[3]을 하게되면 .. 2024. 8. 21.